티스토리 뷰
만 나이가 통일이 된다고 하는데 그래도 헷갈리는 건 저만 그런 건 아닐 겁니다. 만 나이 통일법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만 나이가 통일이 되면 우리 나이가 1~2살씩 어려진다고 합니다. 어려진다는 건 기분 좋은 소식입니다. 그래서 헷갈리는 만 나이 계산법과 우리 나이는 몇 살인지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 나이 계산법
만 나이로 통일이 되면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나이를 둘러싼 계산법에 헷갈리지 않을 겁니다. 만 나이를 계산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2023년 6월 28일 부터 "만 나이 통일법" 이 시행됩니다. 우리나는 그동안 만 나이, 연나이, 세는 나이의 3가지 나이를 모두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복잡한 나이계산이었습니다. 나와 나이가 똑같은데 초등학교를 일찍 입학해서 한 살 많은 선배와 같이 학업을 받다 보니 친구를 친구라 부르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도 많았습니다. 우리나라에만 있었던 3가지의 나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우리가 알고 있는 만 나이는 태어날 때부터 0살이라고 하며 생일이 돌아올때마다 1살이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생일을 기준으로 하는 생법이며 현재 관공서, 병원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 나이는 태어날 때부터 0살이지만 해가 바뀌는 1월 1일이 될때마다 1살이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만 나이와 세는 나이가 절충된 방법으로 병역법, 청소년보호법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 나이의 계산법은 현재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뺍니다. 그 결과에 1을 더해줍니다. 예를 들어 출생 연도가 1970년인 경우에는 2023-1970=53이 됩니다. 이 결과에서 나온 53에 1을 더해주면 연 나이인 54세가 됩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날때부터 1살, 1월 1일이 될 때마다 1살이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며 연말에 태어난 아기는 새해에 바로 2살이 되는 나이계산 방식입니다.
이렇게 3가지 나이법이 우리나라에는 공존해서 사용하다보니 일상에서 혼란과 불편이 적지 않게 많았습니다.
나이가 한살 어려진 체감은 좋지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나이는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겪은 경험들과 그로 인해 얻은 방대한 지식들을 더욱 중요시합니다. 나이는 단순히 우리 삶에서 달성해야 하는 목표가 아니며 모든 연령층에게 존중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층이 다르다고 해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서로 존중하려 이해하려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나이가 한 살 어려졌다고 우리의 신체나이 또한 어려진 것은 아닙니다. 신체는 계속 고연령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건강식단과 운동을 통해 어려진 나이만큼 신체의 나이도 어려지도록 건강한 생활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잘살고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안심콜서비스 가입과 본인이 등록하는 방법과 대리인등록방법 (0) | 2023.05.29 |
---|---|
뇌졸중의 원인과 의심증상 예방법 (0) | 2023.01.01 |
고열의 원인과 기준 열내리게 하는 방법 (0) | 2023.01.01 |
오십견 특징 예방법을 알아두자 (0) | 2022.12.31 |
A형 독감 현상 및 예방법 치료방법 (0) | 2022.12.31 |